후기/코딩테스트 (6) 썸네일형 리스트형 2022 SK텔레콤 T-WorX for Developers 챌린지 후기 백엔드 분야로 지원했다.10시부터 1시까지 3시간 동안 진행되었고 문제 난이도는 평이했다.다만 내 오류인지 평소 잘 되던 테스트케이스가 복사가 불가능했다. 문제1번 문제는 선택정렬?인가 어떤 정렬에 대한 개념을 이용하는 문제로 보였다. 하지만 n의 크기가 매우 작아 그냥 구현해주기만 하면 풀리는 문제였다. 백준으로 치면 딱 실버 5 수준의 기본문제 정도였을 것 같다. 뭔가 더 좋은 풀이가 있었을 것 같다. 2번 문제는 머리를 조금 써야하는 구현 문제였다. 하지만 의외로 if else는 몇번 사용하지 않고 구현할 수 있어서 구현 난이도 자체는 어렵지 않았다. 다만 문제가 워낙 길어서 이해가 어려웠던 문제였다. 실버3~5 정도의 무난무난한 문제였던 것 같다. 3번 문제는 구현 + 이분탐색 문제었을 것 같다... 2022 그렙 개발자 채용 챌린지 후기 지원 분야는 "웹백엔드 프로젝트 기반 학습 콘텐츠 제작자" 였다. "알고리즘 & 코딩테스트 문제 출제자" 분야도 있었지만 내가 아직 그 정도의 실력이 아니라 생각하여 지원하지는 않았다. 무려 4시간이나 주어지는 코딩테스트였다. 알고리즘 4문제 + SQL 2문제가 나왔다. 최근 본 코딩 테스트 중에 가장 문제 퀄리티가 좋은 것 같았다. 최종 결과는 4/6 문제를 2시간 남기고 풀었다. 알고리즘 문제는 다 맞췄다! 문제 1번 문제는 전광판 구현이었다. 여러 풀이가 있을 수 있지만 나는 덱을 이용하여 풀었다. 전광판의 이동은 popleft()와 append()로 구현이 가능했다. 숫자도 작아서 특별한 구현 없이 돌리는 것 만으로도 통과가 가능했다. 다만 문제 조건을 잘 안 읽고 제출했다가 한번 틀렸다. 2번 .. 2022 Summer Coding - 여름방학 스타트업 인턴 프로그램 후기 알고리즘 3문제 SQL 1문제가 출제되었다. 1번 문제는 그냥 for문 한번 돌려주면 되는 문제였다. 유형은 단순 구현이고, 난이도는 백준기준 브론즈 2 ~ 실버 5 사이정도 인 것 같다. 2번 문제는 문자열 쪼개기, 정렬, 구현 문제였다. 파이썬의 경우 split과 dict를 이용해 매우 손쉽고 짧게 코딩이 가능했다. 다른 언어들보다 조금 이 문제에서 시간을 벌 수 있지 않았나 싶다. 문제에 조건들에 맞춰서 값을 넣고 정렬하면 쉽게 정답을 구할 수 있다. 난이도는 실버4~ 실버2 그 정도였던 것 같다. 3번 문제까지 모두 쉬웠다. 각 위치에서 다른 모든 위치까지의 거리와 수평거리를 구해주었고, 이것을 이용해서 문제의 조건에 맞게 left, right를 이동시키면서 해결하였다. 2번까지 문제가 쉬워 3번.. 2022 SKT ICT FAMILY 2차 코딩테스트 후기 성과 4문제 중 2문제 해결 유형 1번 문제는 문자열 문제였던 것 같은데 기준이 꽤나 널널해서 특별한 알고리즘 없이도 충분히 맞출 수 있었다. 2번 문제 또한 하라는 대로 구현만 해주면 되는 문제였다. 후기 무려 4시간에 걸쳐 이루어지는 코딩테스트였다. 1,2번 모두 시간만 좀 쏟으면 풀 수 있는 문제들로 구성되어있었고 4시간이라는 긴 시간제한 덕분에 1차를 뚫고 온 사람이라면 아마 1,2번 문제는 대부분 해결할 수 있었을 것이다. 다만 체감상으로는 3번 문제가 갑자기 어려워지는 바람에 사실상 3번은 멀뚱멀뚱 쳐다만 보다가 끝났다. 2번 문제의 경우 굳이 우선순위 큐를 이용하지 않아도 충분히 풀 수 있고 안쓰는 쪽이 훨씬 쉽게 끝낼 수 있었을 것 같다. 또한 여러 값들을 통일성 있게 활용하지 못하여서 시.. 2022 SK ICT Family 개발자 채용 챌린지 후기 총 4문제 중 3문제를 풀었다. 1번 문제는 백트래킹이나 완전탐색 등 여러가지 풀이가 존재할 것 같다. 다만 나는 그리디하게 풀었다. 좋은 비율 순서대로 정렬한 뒤 그 순서대로 동전을 만들어주었다. 2번 문제는 백준의 달팽이 문제와 비슷한 문제였다고 생각한다. 시계방향의 소용돌이 만들기와 반시계방향의 소용돌이 만들기인데, 두 가지를 따로 만들 필요 없이 시계방향의 소용돌이를 상하반전시키면 그게 반시계방향의 소용돌이가 된다. 구현에 조금 애를 먹었지만 무리는 없었다. 2번 문제까지는 알고리즘에 대한 지식 없이도 충분히 풀 수 있는 문제였다. 3번 문제는 DP? 혹은 조합 문제였다. 출발점에서 A A에서 목적지 까지 가는 경우의 수를 구해주면 쉽게 풀리는 문제였다고 생각한다. 매번 경우의 수를 구해줄 수는 .. 2022 Dev-Matching: 게임 프로그래머 코딩테스트 후기 성과 총 3 문제 중 2문제를 풀 수 있었다. 유형 1번 문제는 문자열 쪼개기와 단순 구현이었다. n월 n일을 1월 1일로부터 n일 이런식으로 바꿔주면서 해결해주었다. 2번 문제는 n목 만들기였는데 가로방향,세로방향,대각선 2방향으로 dp를 해줘서 각 방향으로 n목이 존재하는지 확인했다. 당연하게도 n목보다 n+1목의 개수가 많을 수는 없다. 또한 n+2, n+3목의 존재 여부는 아무 상관이 없다. n개가 이어진 것이 3개인데 n+1개가 이어진 것이 2개라면 3개의 n목중 2개는 무효가 되는 셈이니까, 따라서 만족하는 n목의 개수는 존재하는 n목의 개수에서 존재하는 n+1목의 개수를 빼 준 값이라 생각했다. 3번 문제는 사실 감이 잘 오지 않았다. 대략 10번 내의 이동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 같았지만 .. 이전 1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