텍스트 서식 태그
<b> </b> | 태그 사이의 내용을 굵게(bold) |
<i> </i> | 기울이게(italic) |
<small> </small> | 작게(small) |
<ins> </ins> | 밑줄(insert) |
<del> </del> | 취소선(delete) |
<mark> </mark> | 강조(mark) |
<strong> </strong> | 중요표시(strong) |
<em> </em> | 강조(emphasize) |
<sup> </sup> | 위 첨자(superscript) |
<sub> </sub> | 아래 첨자(subscript) |
<code> </code> | 코드(code) |

순서대로 작성시 위와 같은 형태를 띄게 된다.
<b>와 <strong>은 둘 다 굵게 표시를 하게 되는데, <b>는 텍스트를 강조할 때 <strong>은 내용 자체를 강조할 때 사용한다고 한다.
인용 태그
<q> </q>
<q> </q> 는 짧은 인용구 이용 시 사용한다.
q는 quote를 뜻한다.
<q>인용구</q>
이렇게 작성 시

이렇게 보이게 된다.
<blockquote> </blockquote>
<blockquote> </blockquote> 는 길이가 긴 인용구를 이용 시 사용한다.
<abbr> </abbr>
<abbr> </abbr> 는 약어를 정의할 때 사용한다.
abbr은 abbreviation을 뜻한다.
<cite> </cite>
<cite> </cite> 는 인용구의 제목을 작성할 때 사용한다.
<address> </address>
<address> </address> 는 주소 작성 시 사용한다.
<a> </a>
<a> </a> 는 링크 생성 시에 사용한다. 같은 사이트 내의 이동이나 다른 사이트로의 이동에 사용할 수 있다.
같은 사이트 내의 이동은 h태그와 같이 사용해서 구현해 줄 수 있다.
예를 들어 <h1 id='content1'> 이렇게 해놓고 <a href ='#content1'> 이런 식으로 구현해줄 수 있다.
href 라는 속성에 값을 넣어서 이동할 링크를 설정해줄 수 있다.
target 이라는 속성에 값을 넣어서 창이 열릴 위치를 정해줄 수 있다.
- _blank : 새로운 창
- _self : 현재 창
- _parent : 웹 브라우저의 부모 창
- _top : 웹 브라우저의 전체 영역
'프로그래밍 > HTML 기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TML 문법 - 5 (멀티미디어 태그) (0) | 2022.06.14 |
---|---|
HTML 문법 - 4 (리스트 태그, 테이블 태그) (0) | 2022.06.13 |
HTML 문법 - 2 (속성과 기본 태그들) (0) | 2022.05.31 |
HTML 문법 - 1 (기본 태그들) (0) | 2022.05.30 |
HTML이란? (0) | 2022.05.30 |